HOME > 주요일정 > 124위 시복시성 > 하느님의 종 124위 약전
하느님의 종 124위 약전
김기량 (펠릭스베드로)
출생년도 | 1816 | 남녀 | 남 | 출생지 | 제주도 함덕 | 직업 | 무역업 중인 |
---|---|---|---|---|---|---|---|
순교연령 | 51 | 순교일 | 1867. 1. | 순교지 | 경상도 통영 | 순교방법 | 교수 |
김기량(金耆良) 펠릭스 베드로는 1816년 제주 섬 함덕리(현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함덕리)의 중인 집안에서 탄생하였다. 사람들은 그를 ‘김 선달’이라고 불렀다. 그는 배를 타고 다니면 장사를 하던 사람이었는데, 1857년 2월 18일(음력 1월 24일) 동료들과 함께 무역차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게 되었다.
그로부터 1개월 이상이 지난 3월 26일, 펠릭스 베드로는 중국의 광동 해역에서 영국 배에 구조되었다. 그때 동료들은 탈진하여 죽은 상태였다.
이후 펠릭스 베드로는 홍콩의 파리 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로 보내졌으며, 이곳에서 프랑스 선교사들과 조선 신학생 이 바울리노를 만나게 되었다. 바울리노는 당시 그곳에서 휴양 중이었다.
바울리노는 펠릭스 베드로를 만난 다음날부터 그에게 천주교 교리를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펠릭스 베드로는 여기에 마음이 쏠려 기도문을 외우기 시작하였고, 그의 신앙심은 얼마 안되어 아주 깊어지게 되었다. 그런 다음 그는 1857년 5월 31일 홍콩의 부대표인 루세이유(J. J. Rousseille)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조선으로 귀국하였다.
귀국 직후 펠릭스 베드로는 고향인 제주로 내려가기 전인 1858년 3~4월에 페롱(S. Feron, 權) 신부와 최양업(토마스) 신부를 만날 수 있었다. 이때 신부들은 그가 ‘제주의 사도’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다. 실제로 그는 가족과 그의 사공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는 데 열중하였으며, 다음해 봄에는 육지로 나와 교구장인 성 베르뇌(S. Berneux, 張敬一) 주교를 만나 성사를 받기도 하였다.
펠릭스 베드로는 이후로도 육지를 오가면서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다. 그러던 중 1865년에는 두 번째로 난파하여 일본 나가사키에 도착하였으며, 그곳에서 프티장(Petitjean) 신부를 만나고 다음해 귀국하였다. 이후 그는 육지로 다시 나와 리델(F. Ridel) 신부를 방문하고, 그 자리에서 자신의 사공 2명을 영세시키기도 하였다. 이 무렵 그는 다음과 같은 천주가사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어와 벗님들아 순교의 길로 나아가세.
그러나 순교의 길로 나아가기는 어렵다네.
나의 평생 소원은 천주와 성모 마리아를 섬기는 것이요,
밤낮으로 바라는 것은 천당뿐이로다.
펠릭스 베드로는 능히 주님 대전에 오르기를 바라옵나이다.
그러나 제주의 복음화를 위한 김기량 펠릭스 베드로의 노력은 1866년의 병인박해로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박해가 일어난 직후 그는 여느 때처럼 무역을 하러 경상도 통영으로 나갔다가 그곳의 게섬(현 경남 통영시 산양읍 풍화리)에서 천주교 신자라는 사실이 밝혀져 체포되었다.
이윽고 통영 관아로 끌려간 펠릭스 베드로는 여러 차례 문초와 형벌을 받아야만 하였다. 그러나 그는 결코 여기에 굴복하지 않고 굳게 신앙을 지켰다. 더욱이 옥에 갇혀서는 함께 있던 교우들에게 “나는 순교를 각오하였으니, 그대들도 마음을 변치 말고 나를 따라오시오.”라고 권면하였다.
이후 통영 관장은 대구 감사에게 ‘펠릭스 베드로와 그 동료들을 배교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그러자 감사는 ‘그들을 때려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에 따라 펠릭스 베드로와 그의 동료들은 다시 혹독한 매질을 당해야만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목숨이 붙어 있자, 관장은 그들 모두를 옥으로 옮겨 교수형에 처하라고 명령하였다. 이때가 1867년 1월(음력 1866년 12월)로, 당시 펠릭스 베드로의 나이는 51세였다. 이때 관장은 특별히 그의 가슴 위에 대못을 박아 다시는 살아나지 못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로부터 1개월 이상이 지난 3월 26일, 펠릭스 베드로는 중국의 광동 해역에서 영국 배에 구조되었다. 그때 동료들은 탈진하여 죽은 상태였다.
이후 펠릭스 베드로는 홍콩의 파리 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로 보내졌으며, 이곳에서 프랑스 선교사들과 조선 신학생 이 바울리노를 만나게 되었다. 바울리노는 당시 그곳에서 휴양 중이었다.
바울리노는 펠릭스 베드로를 만난 다음날부터 그에게 천주교 교리를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펠릭스 베드로는 여기에 마음이 쏠려 기도문을 외우기 시작하였고, 그의 신앙심은 얼마 안되어 아주 깊어지게 되었다. 그런 다음 그는 1857년 5월 31일 홍콩의 부대표인 루세이유(J. J. Rousseille)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조선으로 귀국하였다.
귀국 직후 펠릭스 베드로는 고향인 제주로 내려가기 전인 1858년 3~4월에 페롱(S. Feron, 權) 신부와 최양업(토마스) 신부를 만날 수 있었다. 이때 신부들은 그가 ‘제주의 사도’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다. 실제로 그는 가족과 그의 사공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는 데 열중하였으며, 다음해 봄에는 육지로 나와 교구장인 성 베르뇌(S. Berneux, 張敬一) 주교를 만나 성사를 받기도 하였다.
펠릭스 베드로는 이후로도 육지를 오가면서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다. 그러던 중 1865년에는 두 번째로 난파하여 일본 나가사키에 도착하였으며, 그곳에서 프티장(Petitjean) 신부를 만나고 다음해 귀국하였다. 이후 그는 육지로 다시 나와 리델(F. Ridel) 신부를 방문하고, 그 자리에서 자신의 사공 2명을 영세시키기도 하였다. 이 무렵 그는 다음과 같은 천주가사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어와 벗님들아 순교의 길로 나아가세.
그러나 순교의 길로 나아가기는 어렵다네.
나의 평생 소원은 천주와 성모 마리아를 섬기는 것이요,
밤낮으로 바라는 것은 천당뿐이로다.
펠릭스 베드로는 능히 주님 대전에 오르기를 바라옵나이다.
그러나 제주의 복음화를 위한 김기량 펠릭스 베드로의 노력은 1866년의 병인박해로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박해가 일어난 직후 그는 여느 때처럼 무역을 하러 경상도 통영으로 나갔다가 그곳의 게섬(현 경남 통영시 산양읍 풍화리)에서 천주교 신자라는 사실이 밝혀져 체포되었다.
이윽고 통영 관아로 끌려간 펠릭스 베드로는 여러 차례 문초와 형벌을 받아야만 하였다. 그러나 그는 결코 여기에 굴복하지 않고 굳게 신앙을 지켰다. 더욱이 옥에 갇혀서는 함께 있던 교우들에게 “나는 순교를 각오하였으니, 그대들도 마음을 변치 말고 나를 따라오시오.”라고 권면하였다.
이후 통영 관장은 대구 감사에게 ‘펠릭스 베드로와 그 동료들을 배교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그러자 감사는 ‘그들을 때려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에 따라 펠릭스 베드로와 그의 동료들은 다시 혹독한 매질을 당해야만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목숨이 붙어 있자, 관장은 그들 모두를 옥으로 옮겨 교수형에 처하라고 명령하였다. 이때가 1867년 1월(음력 1866년 12월)로, 당시 펠릭스 베드로의 나이는 51세였다. 이때 관장은 특별히 그의 가슴 위에 대못을 박아 다시는 살아나지 못하도록 하였다고 한다.